생활정보

생크림 종류별 특징 비교 정리

행운가시꽃 2022. 12. 28. 21:15

케이크나 빵 위에 데코레이션 용도로 쓰이는 생크림도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다. 휘핑크림처럼 거품기로 휘저어 만드는 동물성 생크림 부터 식물성 유지방 크림 까지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각 생크림 별 특징 및 차이점은 무엇일까? 궁금하다면 주목하자.

생크림케이크



먼저 동물성 생크림은 우유에서 분리한 유크림 100%로 만든다. 따라서 고소하고 진한 풍미가 느껴지는 게 특징이다. 다만 유통기한이 짧고 쉽게 녹아내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 가격이 비싸고 보관이 어렵다는 한계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나온 게 식물성 유지방 크림이다. 팜유나 야자유 등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만드는데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보존 기간이 길다. 대신 고소한 맛이 덜하고 느끼한 편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건 휘핑크림이다. 이름 그대로 설탕을 첨가한 뒤 기계로 빠르게 저어주면 된다. 다른 과정 없이 간편하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칫하면 느끼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동물성 생크림은 우유에서 추출한 지방만 분리해서 만들었고, 식물성 생크림은 콩기름이나 옥수수기름 같은 식물성 기름을 가공 처리하거나 화학반응을 통해 만든 것이다. 그리고 휘핑크림은 흔히 케이크 위에 장식용으로 쓰이는 거품 형태의 크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시말해 우리가 카페에서 음료 위에 올리는 그 달콤한 크림들은 모두 다 ‘식물성’이라는 뜻이다.즉 커피 전문점에서 파는 모든 디저트류(케이크, 마카롱, 머핀) 역시 마찬가지다.만약 이를 100% 동물성 생크림으로만 만들었을 경우엔 유통기한이 하루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보통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들 중에서도 대부분은 식물성 재료들을 혼합하여 만든다. 그럼 이제부턴 어떤 걸 선택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마음 편하게 아무거나 골라 먹으면 되는 것이다.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저렴한 식물성 생크림 속 팜유 성분이 혈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이다.‘팜유’란 야자수 열매로부터 짜낸 기름인데, 과자나 라면처럼 바삭한 식감을 필요 하는 식품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편이라 심혈관 질환 및 비만 위험률을 높인다.또한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선 팜유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실제로 영국 일간지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팜유가 많이 함유된 식단을 섭취하면 종양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그리고 해당 연구진은 “사람에게도 같은 영향을 미칠지는 알 수 없지만, 식습관 변화 중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어푸드 (연화식, 저작식, 치료식) 정의 & 차이점  (0) 2022.12.29
요리는 과학이다.  (1) 2022.12.29
요거트  (0) 2022.12.28
피스타치오 맛  (0) 2022.12.28
피스타치오 효능  (0) 2022.12.28